닥터 배의 의학정보★ :: 편측 무시 증후군 :: 정의, 증상, 병변위치, 평가방법, 치료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편측 무시 증후군 (neglect syndrome)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hemi-inattention, hemispatial neglect, unilateral neglect, unilateral spatial agnosia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1. 정의

일종의 주의력 및 지각 결손 (attention & perceptual deficit) 으로, 정의는 두뇌 병변의 반대편으로 나타나는 의미있는 자극에 반응할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시각, 체성감각, 운동 기능의 손상을 먼저 배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증상

이러한 무시 증후군이 발생하게 되면, 뇌졸중 후의 장해에 현저히 기여를 하게 되어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 시각적 인식, 휠체어 이동, 피부와 관절 보호, 낙상 위험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무시 증후군이 발생한 쪽으로 신체 위생을 완전히 하기도 힘들어 지고 접시의 한쪽만 음식을 먹는다거나, 물건이나 벽을 향해 돌진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3. 병변의 위치

우반구가 가장 흔하며 

①측두-두정엽(temporoparietal, 특히 두정엽의 후하부), 

②전두 안구 영역(frontal eye field), 

③대상회(cingulate gyrus), 

④시상(thalamus), 

⑤망상체(reticular formation) 병변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좌측 편측 무시가 흔합니다.


언어장애가 우반구 손상때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씀드린것 처럼, 무시 증후군 또한 좌반구 손상때도 나타날 수 있지만 우반구 손상때만큼 심하지는 않습니다. 


4. 시야 결손과의 감별 : 스캐닝 검사를 통해 구분가능

시야 결손 

편측 무시  

축약된 스캔 패턴 

임의의 스캔 패턴

조직화된 스캔 패턴

무질서한 스캔 패턴 

재스캔하는 모습이 관찰

노력 감소 , 

재스캔은 거의 하지 않음 

시간과 노력이 임무에 적절함

너무 빨리 끝나거나, 

병식이 있는 경우 너무 오래 걸림 


5. 평가

① 그림 그리기 혹은 따라 그리기 (Drawing or copying task)

시계나 집, 꽃 등을 그리면 한쪽으로 그림의 실수나 생략이 발생합니다

중등도나 중증의 편측 무시 발견에는 좋지만, 경증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다른 검사를 필요로 합니다.




② 지우기 검사 (cancellation task)

경증의 편측 무시를 발견하는데 민감하며, 점수 매기기가 쉽습니다.


작은 크기의 별을 찾아서 표시하라고 했을 때, 오른쪽 별만 표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③ 선 이등분 검사 (line bisection task)

선이 길수록, 편측 무시가 있는 쪽으로 선이 위치할 수록 오류가 증가합니다. 



6. 치료

① 최우선은 환자가 병식이 있어야 합니다. 즉, 자신의 문제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② 편측 무시가 있는 쪽으로 감각 자극을 주면서, 주의력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스캔 훈련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Dynavision 등을 이용하여 환측에서 건측으로 스캔하도록 훈련합니다. 

anchoring 이란 시작 지점을 지시하기 위해 환측에 단서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④ 단서 훈련 (spatiomotor cueing)

환자에게 시작 지점을 지시하기 위해 환측에 시각적 단서를 주면서 왼쪽 손을 움직이게 합니다.

좌측 상지의 수동적 움직임 : 영향 없음

양측 움직임 : 영향 없음

자동적 움직임 : 영향 없음

좌측 수부 움직임 : 편측 무시 감소

좌측 다리 움직임 : 편측 무시 감소

즉, 환측을 능동적으로 움직였을 때 편측 무시가 감소함을 볼 수 있습니다.


⑤ 눈 패치 (eye patching)

뇌병변과 동측의 눈 전체를 가리거나 또는 양측 눈의 뇌병변 측 절반을 가립니다.



⑥ 프리즘 치료

시야를 건측으로 강제 편위시켜서 사물들을 잘 볼수 있게 하는 방법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삼킴장애 (연하장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닥터 배

재활의학과 전문의 취득하고, 현재 병원 근무중입니다. 근거가 있고 정확한 의학정보를 여러분들과 공유하고 싶습니다

,